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시아 UAM 시장, 한국의 역할은?

by DIGINOMA 2025. 3. 19.
반응형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시장은 아시아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배터리 기술, 5G 네트워크, 스마트 인프라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UAM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중국의 빠른 상용화, 일본의 항공 산업 기반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아시아 UAM 시장의 현황과 한국의 역할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아시아 UAM 시장 현황

1. 중국: 빠른 상용화와 강력한 정부 지원

  • **EHang(이항)**이 중국 최초로 무인 UAM 항공기 인증을 획득하여,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 중국 정부는 UAM을 도심 교통 해결책으로 적극 도입하려 하며, 상하이, 광저우 등에서 테스트 진행 중입니다.
  • 장점: 대규모 정부 투자, 빠른 실증 실험
  • 단점: 안전성 검증 부족, 초기 규제 미비

2. 일본: 항공 산업 기반을 활용한 기술 개발

  • 스카이드라이브(SkyDrive), ANA(전일본공수), 도요타 등이 협력하여 UAM 기체 개발 중입니다.
  • 2025년 오사카 엑스포에서 UAM 상용화 실증 실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장점: 기존 항공기술 기반, 정부-기업 협력 강함
  • 단점: 보수적인 규제, 시장 성장 속도가 느림

3. 한국: 인프라와 기술력을 활용한 성장 전략

  • 현대자동차(슈퍼널), 한화시스템, KAI 등이 적극적으로 UAM 개발 중이며, 2025년 국내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가 **"K-UAM 로드맵"**을 발표하며, 2025년 시범 운행 → 2030년 상용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 장점: 5G 네트워크, 배터리 기술, 정부의 강력한 지원
  • 단점: 항공기 제작 경험 부족,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필요

🔹 한국의 UAM 시장에서의 역할

한국이 아시아 UAM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강화, 국제 협력, 인프라 구축이 필요합니다.

1. 배터리 및 전기 추진 기술 선도

  • 한국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세계적인 배터리 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전고체 배터리 연구를 가속화하여 경량화,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기체 개발을 주도할 수 있습니다.

2. 5G·AI 기반 자율비행 시스템 개발

  • 한국은 5G, 인공지능(AI), IoT 기술을 활용한 **UAM 교통 관리 시스템(UTM)**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자율비행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AI 기반 항로 탐색, 충돌 방지 시스템 개발이 필요합니다.

3. 아시아 UAM 협력 네트워크 구축

  • 한국은 중국, 일본과 협력하여 UAM 국제 표준을 마련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야 합니다.
  • 한국 기업이 아시아 UAM 공동 실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기체 테스트 및 운용 경험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UAM 인프라 및 서비스 모델 개발

  • 버티포트(Vertiport) 구축, 도심 내 UAM 운행 경로 설정, 승객 탑승 서비스 모델 개발 등을 통해 선진적인 UAM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서울, 부산, 인천공항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UAM 실증 사업을 확대해야 합니다.

🔹 아시아 UAM 시장에서 한국의 경쟁력 분석

비교 항목한국중국일본
UAM 기체 개발 현대차·한화 주도 EHang 선두 SkyDrive, ANA 주도
배터리 기술 강점 (전고체 배터리 연구) 중간 수준 중간 수준
5G 및 AI 기술 강점 (5G 인프라 보유) 중간 수준 약함
정부 지원 강력한 로드맵 추진 대규모 지원 점진적 추진
상용화 속도 2025년 실증, 2030년 상용화 목표 이미 실증 진행 중 2025년 오사카 엑스포 실증 계획

한국은 배터리, 5G 네트워크, 정부 지원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며, 아시아 UAM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 한국이 글로벌 UAM 강국이 되기 위한 전략

1️⃣ 배터리 기술 혁신 주도

  • 전고체 배터리, 수소 연료전지 연구를 통해 UAM 기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합니다.

2️⃣ 국제 협력 확대

  • 중국, 일본과 공동 실증 프로젝트 추진 및 국제 표준 정립에 기여해야 합니다.

3️⃣ 자율비행 및 UTM 시스템 개발

  • 5G 기반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UAM 운영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4️⃣ UAM 인프라 구축 및 상용화 추진

  • 서울, 부산, 인천공항 등 주요 도시에서 버티포트 구축 및 실증 테스트 확대가 필요합니다.

🔹 결론

아시아 UAM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은 배터리 기술, 5G 네트워크, 정부 정책 지원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의 빠른 상용화, 일본의 항공 기술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술 개발과 국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한국이 아시아 UAM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할 수 있을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정책 지원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