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드론과 UAM, 글로벌 경쟁력은?

by DIGINOMA 2025. 3. 19.
반응형

한국의 드론과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유럽, 중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은 어느 수준일까요? 한국은 배터리, 반도체, 5G 네트워크 등 강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인프라 및 규제 문제에서 도전 과제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의 드론 및 UAM 기술 수준을 글로벌 시장과 비교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한국의 드론 산업 현황과 경쟁력

한국의 드론 산업은 정부 주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1. 정부 주도의 드론 산업 육성

  • 한국 정부는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통해 드론 활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신기술 테스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는 드론 배송, 스마트 드론을 활용한 국토관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드론 핵심 부품 국산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 드론 기업 및 기술 수준

  • 대한항공은 군사용 대형 드론을 개발 중이며, 한화시스템은 드론을 활용한 감시 및 보안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LG U+**와 KT는 5G 기반 드론 교통관리(UTM)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드론 운항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 다만, 글로벌 선두 기업(미국 DJI, 중국 EHang 등)과 비교하면 기술 상용화 속도가격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3. 드론 시장 성장 전망

  • 한국의 드론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1조 원 이상으로 성장했으며, 2026년까지 5조 원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드론 활용 분야는 물류, 농업, 방재, 국방, 촬영, 감시 등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강점과 약점 분석

강점: 5G 네트워크 인프라, 반도체 기술, 정부 지원
약점: 글로벌 시장 점유율 낮음, 드론 부품의 해외 의존도


🔹 한국의 UAM 산업과 글로벌 비교

1. UAM 관련 정책 및 추진 현황

  • 한국 정부는 **"K-UAM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022년 UAM 실증사업(K-UAM Grand Challenge)**을 시작하여,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2. UAM 기술 및 기업 현황

  • 현대자동차는 **"Supernal"**이라는 브랜드를 통해 eVTOL 기체를 개발 중이며,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한화시스템SK텔레콤버티포트(Vertiport) 및 UAM 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 다만, 미국(Joby, Archer), 유럽(Volocopter, Airbus) 대비 상용화 속도가 늦고, 항공기술 경쟁력이 부족한 점이 약점으로 지적됩니다.

3. 한국 UAM의 강점과 약점

강점: 배터리 기술(전고체 배터리 개발), 5G 및 AI 인프라, 정부 지원
약점: 항공기 제작 경험 부족, 글로벌 경쟁사 대비 늦은 상용화


🔹 글로벌 시장과 한국의 경쟁력 비교

비교 항목한국미국유럽중국
드론 기술 중간 수준 선도 (DJI 등) 안정성 우수 가격 경쟁력 우수
UAM 기체 개발 초기 단계 빠름 (Joby, Archer) Airbus, Volocopter 주도 EHang 주도
자율비행 기술 5G 인프라 강점 AI 기반 발전 규제 중심 운영 빠른 실증 실험
시장 점유율 낮음 세계 1위 연구개발 집중 빠른 상용화
정부 지원 강력한 지원 민간 중심 환경규제 강화 정부 투자 적극적

한국은 배터리 및 5G 네트워크 기반의 UAM 개발에서 강점을 보이지만, 기체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는 다소 뒤처진 상태입니다.


🔹 한국의 드론·UAM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1️⃣ 배터리 및 자율비행 기술 강화

  •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하고, AI 기반 자율비행 기술을 연구하여 글로벌 기술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2️⃣ 국제 협력 및 해외 시장 진출

  • 미국, 유럽 기업과 협력하여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해외 투자 유치를 늘려야 합니다.

3️⃣ UAM 인프라 조기 구축

  • 도심 내 버티포트(Vertiport) 및 드론 항공교통 관리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해야 합니다.

4️⃣ 정부와 기업 간 협업 확대

  • 규제 완화를 통해 신기술 테스트 환경을 조성하고, 민간 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해야 합니다.

5️⃣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육성

  • 드론 및 UAM 관련 스타트업을 육성하여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 결론

한국은 배터리, 5G 네트워크, 자율비행 기술 등에서 강점을 보이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체 개발 경험 부족, 글로벌 시장 점유율 부족 등의 약점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배터리 기술 혁신, 해외 협력 확대, 인프라 구축, 정부-기업 협업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합니다. 향후 10년 안에 한국이 드론과 UAM 산업에서 세계 선두권에 진입할 수 있을지 주목해볼 만합니다.

반응형